의정부라는 지명은 언제부터 어떻게 유래된 것일까?

  • 등록 2009.08.01 10:04:30
크게보기



 








 의정부라는 지명은 언제부터 어떻게 유래된 것일까?


조선 3대 태종이 왕자 시절에 이복 동생인 방번(芳番)과 방석(芳碩)을 살해하고 소란을 일으키자 태조 이성계는 불충불의한 자와 함께 살 수 없다고 하여 함흥으로 옮겼다.


 이후 태종은 여러 차례 사자(使者)를 보내어 용서를 빌었으나 태조는 사자(使者)를 감금, 살해하고 돌려보내지 않았다.


 ‘함흥의 사’ 또는 함흥차라는 말이 이때부터 생겨났다고 전한다.


이후 태조가 화가 누그러지는 듯해서 태종 2년(1402) 12월에 지금의 의정부까지 돌아오게 되었다.


 이때 태종은 부왕을 맞을 연회를 베풀기 위해 천막을 치고 만반의 준비를 하였다. 한편 중신 하륜(河崙)은 부왕 태조가 반드시 태종을 해칠 것이라고 예상하고 천막에 큰 기둥을 많이 세우게 했다.


 태조는 활의 명수(名手)이기 때문에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 였다.


예상대로 태종은 순간적으로 기둥 뒤에 몸을 피해서 다행히 부왕의 화살을 맞지 아니하였다.


 그리고 곧 연회가 시작되자 태종은 ‘헌수(獻壽)’의 뜻으로 친히 부왕 태조에게 잔을 올려야만 한다.


그러나 이 또한 하륜의 지략으로 하륜 자신이 잔을 올렸다고 한다.


 따라서 태종은 위험한 순간을 피하게 되었고 이리하여 태조는 결국 태종에 대한 미움을 털어버리게 되었고, 지금의 의정부지방에서 무학대사와 함께 장기간 머물렀다고 한다.


 당시 의정부(議政府), 삼정승(三政丞, 영/우/좌의정)이 번갈아 지금의 의정부 인근에 와서 태상왕께 정무(政務)를 의논하고 국가적인 대사(大事)의 결재를 태조에게서 받았기 때문에 ‘의정부(議政府)’라는 지명이 생겨났다고 전한다.


 이상의 내용은 비록 후대의 기록에서 확인된 것이지만 그것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엄연한 역사의 사실로 조선 초기 이래 전승되어 오던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일제가 의정부 지역에 철도를 부설할 때의 기록 사항에서도 일제시대 이전 조선시대부터 ‘의정부’라는 지명이 사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는 경원선 철도 부설을 위해 한국 강점 초기부터 부지의 측량과 철도 건설계획을 치밀하게 작성하였다.


 경원선은 용산역을 기점(起點)으로 하여 청량리, 창동, 의정부, 동두천, 연천 등으로 뻗어나가는 15개의 공구(工區)로 나뉘어 추진되었다.


 용산에서 청량리까지는 1910년 10월5일에 착공되었다.


그러나 준공은 1911년 7월15일에 이루어졌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은 이미 당시에 ‘의정부’라는 지명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제 당국은 경원선 철도부설을 위한 도면 작성과 측량 계획을 이미 1904년에 완성하였는데 이때에 지금까지 사용되어 오던 의정부라는 지명을 그대로 이용하여 측량 및 설계도면을 작성한 것이다.


어느 지방의 지명이든 그것은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사학자들이 사료(史料)의 빈곤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그 지방의 지명에 관심을 갖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또 행정구역을 재조정한다거나 새로운 도시를 건설할 때에 상당한 역사성을 고려하면서 지명을 확정하는 것도 마찬가지의 이유이다.


 의정부라는 지명은 오랜 전통을 지니면서 내려온 것이 틀림없다.


‘경원선건설공구약도’를 참고할 때 확신은 더욱 뚜렷해진다.


 의정부라는 지명은 조선초기부터 사용되어 내려온 것이며 1912년 5월23일자로 공포된 지방행정구역을 조정 할 때에 ‘의정부리’라고 한 것도 물론 기존의 이름을 그대로 활용한 것이다.


-의정부 지명유래집에서-

의정부신문사
Copyright @2011 ujbnews.net.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등록번호 : 경기 아51266 I 등록일자 : 2015.07.28 I 전화번호 : 010-9574-0404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 1112번길 I E-mail : ujbnews6400@hanmail.net 발행인 겸 편집인 : 김동영 I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동영 Copyright @2011 ujbnews.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