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나도 경전철같은, 이런 사업 하고싶다.

고호의 리얼토크 No.13

세상에 이런 사업이 있을까?

지난 2012년 7월 1일 의정부시에는 수천억이라는 천문학적 비용이 든 시민들이 왜 생기는지도 모르는 경전철이 개통되었다.

IMF 당시 정부가 기간시설을 만들면서 민간투자사업자에게 BTO방식이라는 '땡전 한 닢도 적자가 나지 않는' 최소수입보장을 해주는 사업을 전국 각지에 벌였다. 그중 하나가 의정부경전철이다.

이 경전철이 만들 때부터 붕괴사고, 개통 후 정차사고가 밥 먹듯 하더니 경전철 주식회사 지들이 사업성 검토하고 사업하다 손해봐놓고 300억 적자 봤다고 법이나 계약서에도 없는 '환승할인'하게 해달라고 악을 쓰며 시민들에게 사실과 차이가 있는 선동질(?)하다 지난 5일 새벽 5시30분 의정부 흥선역에서 첫차가 출발도 못하고 또 멈췄다.

개통 후 동네 마을버스보다 못하게 툭하면 서는 경전철 정차가 십 수차례가 넘다보니 입이 아파 이젠 불만도 말을 못하겠다.

그런데 너무 웃기다 못해 기가 막힌 것이 이번에 정차한 것이 위탁업체 직원이 실수로 신호단자함 연결을 잘못해서라고 발표해놓고 이제와서는 프랑스 지멘사가 설계하고 납품한 신호기 도면에 표기가 잘못되어서 그렇다고 정정해 괜한 ‘위탁업체 직원‘만 박살나게 마음 고생한 것이다. 여기서 기가 막히는 것은 경전철 측이 시스템 오류가 아닌 게 다행이라고 말했다는 사실이다. 즉, 경전철 잘못이 아니고 도입 당시 외국기술사의 문제라서 다행이라는 동네 뭐가 웃을 해명...

우리는 수천억 들여서 도입된 '공중의 대중교통'시설의 도면이 잘못된 것을 1년이 훨씬 넘어야 알 수 있고 툭하면 서는 경전철이 '파산'할지 모르는 두려움에 안전이고 뭐고 생각할 필요도 없이 공중열차를 타야한다는 것이 서글퍼진다. 지금 의정부시와 경전철은 신경전 중이다.
경전철이 파산해도 3500억원 이상 물어줘야하고 운행해도 30년동안 1조 가량 혈세를 지불해줘야하고...
의정부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나도 경전철 같은 사업 하고싶다. 투자해서 앞으로 가나 뒤로 가나 남는 장사인 사업. 나도 그런 것 하고 싶다.
시민들은 말한다.
경전철에 대해 자세히 아는 것이 없는데 의정부시건 경전철이건 시민입장에서 대화해 시민들 세금 낭비하는 일 없도록 하라고 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모두의돌봄' 릴레이 캠페인 동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북부지사(지사장 이효성)가 의정부시가 추진 중인 '모두의돌봄' 릴레이 캠페인에 동참하며 지역사회 내 포용적 돌봄문화 확산과 장애인 고용 인식 제고에 앞장섰다. 20일 공단에 따르면 '모두의돌봄' 캠페인은 의정부시가 시민과 함께하는 복지를 실현하고, 지역사회 돌봄의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시작한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시장과 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관내 주요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장이 순차적으로 참여하는 릴레이형 복지 캠페인으로, 참여 기관이 다음 주자를 지명하며 이어가는 방식이다. 이효성 경기북부지사장은 "지역의 공공과 민간이 함께 취약계층을 돌보는 의미 있는 연대의 장에 동참하게 되어 뜻깊다"며, "앞으로도 장애인 고용 확대를 통해 누구나 일할 수 있고 함께 돌보는 포용적 사회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장은 이인영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장의 지목을 받아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다음 주자로 신소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경기북부본부장을 지목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북부지사는 이번 캠페인을 계기로 지역사회와의 상생 기반 복지 실현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를 병행할 방침이다. 특히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 고용 지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