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사회/경제

전자제품 버릴때 처리 수수료 사라진다.



 앞으로 집이나 사무실에 방치된 TV와 냉장고, 에어컨 등 전자제품을 버릴 때 내는 처리수수료가 사라지고, 소형 가전제품을 상시 수거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또 제품 생산업체가 반드시 재활용해야 하는 전자제품 대상이 늘어나고, 전국 시·군·구에는 재활용 기반시설이 확충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18일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자원 고갈 현상이 심화하고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있어 정부 차원에서 폐금속을 재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TV나 냉장고, 에어컨 등 가전제품을 분리배출할 때 내는 처리수수료를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를 거쳐 면제하고, 소형 가전제품은 일주일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날을 정해 수거하는 방안을 검토하며 또 생산자가 출고량 대비 일정비율을 반드시 재활용토록 하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적용 품목에 캠코더·카메라·전자레인지 등을 추가하고, 제품별 재활용 의무비율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이와 함께 편의점에 폐 휴대전화 회수 박스를 설치하고, 전주시 등에 폐금속 자원회수 기술을 개발하는 자원순환특화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전국 시·군·구에 집하장, 선별장, 리사이클센터 등 공공 재활용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이 대책으로 전국에 권역별로 재활용 단지가 조성되며, 기업이 재활용해야 하는 전자제품이 기존 10개에서 2013년까지 25개로 확대된다.




2009.09.23

이영성 기자(bbmr6400@paran.com)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사회/경제

더보기
의정부 시민단체, CRC 무상양여 앞세운 '릴레이 티켓 판매' 잡음
의정부의 한 시민단체가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무상양여 운동'을 앞세워 시민들에게 바자회 티켓을 릴레이식으로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공익을 내세운 모금이 사실상 강매로 변질됐다는 비판과 함께, 지난해 불거졌던 개인정보 무단 사용 의혹까지 재조명되며 단체의 신뢰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 단체는 최근 'CRC 무상양여를 위한 사업 및 활동 기금 마련'을 명분으로 바자회를 개최했다. 단체 채팅방에서 특정인을 지목해 티켓을 구매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다시 다른 사람을 지명하는 '릴레이식 판매 방식'을 활용했다. 문제는 사전 동의 없는 단체방 초대였다. 일부 시민들은 "지인이 초대해 단톡방을 나가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재 단체방에는 약 600여 명이 참여 중이며, 상당수는 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반 시민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해당 단체가 단톡방 인원을 회원으로 포장해 세를 과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시민 A씨는 "티켓 구매 관련 문자가 계속 올라와 의무처럼 느껴졌다"며 "자발적 참여보다는 압박에 가까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B씨는 "무상양여라면 서명운동이나 청원으로

사건/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