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3 (일)

  • 맑음동두천 0.0℃
  • 맑음강릉 2.9℃
  • 맑음서울 1.8℃
  • 맑음대전 2.5℃
  • 맑음대구 4.7℃
  • 맑음울산 6.0℃
  • 맑음광주 4.4℃
  • 맑음부산 7.5℃
  • 맑음고창 1.9℃
  • 구름조금제주 9.7℃
  • 맑음강화 -1.7℃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0.3℃
  • -강진군 5.0℃
  • 맑음경주시 2.3℃
  • 맑음거제 5.0℃
기상청 제공

경기도교육청, 내년도 본예산안 22조 3,345억 원 편성 제출

학력 향상, 미래 교육, 과밀학급 해소 및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등 전년 대비 3조 1,386억 원 증가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2023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이하 예산안)’ 22조 3,345억 원을 편성해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2022년도 본예산 19조 1,959억 원보다 3조 1,386억 원 증가한 것이다.

 

31일 도교육청 관계자에 따르면 민선 5기 임태희 교육감 출범에 따른 '미래 교육의 중심, 새로운 경기교육’ 추진을 위해 △하이테크 기반 학생 맞춤형 학력 향상 교육 △자율 기반의 새로운 미래 교육 체제 구축 △과밀학급 해소 및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개선 조성 △방과후학교, 돌봄, 유아교육 지원 강화 등에 중점을 두고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2023년도에는 기초학력 지원센터 운영,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미래 교육, 국제 바칼로레아(IB) 교육 운영, 디지털 시민교육 운영, 특성화고 계약학과 운영, 교권 보호 지원, 교원 연구년제 운영, 공·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건강 간식 제공, 아침 책임 돌봄 시범 운영, 카페테리아식 급식, 학교 도서관 공간 재구조화 등을 새롭게 추진할 예정이다.

 

2023년 예산 규모는 총 22조 3,345억 원으로, 세입예산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8조 195억 원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3조 6,278억 원 △자체 수입 1,215억 원 △기타 5,657억 원이다.

 

세출예산은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력 향상 2,464억 원 △미래 교육 체제 구축 391억 원 △교원의 미래 교육 역량 강화 219억 원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61억 원 △미래형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 구축 2,010억 원 △학생 맞춤형 진로·직업교육 강화 1,169억 원 △교권보호 및 구성원의 자율성 보장 1조 4,861억 원 △방과후학교, 돌봄, 유아교육 강화 1조 2,625억 원 △교육 사각지대 학생 지원 3,565억 원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5조 5,331억 원 △미래지향적 교육행정 체계 구축 377억 원 △학교 지원 중심 행정 강화 13조 272억 원을 편성했다.

 

세부적으로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력 향상 사업은 △기초학력 책임지도제 운영 1,534억 원 △학교정보화 여건개선 사업 691억 원 △ICT 활용 교육 239억 원이다.

 

미래교육 체제 구축 사업은 △미래 교육 협력지구 운영 155억 원 △인공지능·소프트웨어(AI·SW) 교육 등 미래 교육 운영 107억 원 △경기 이룸학교 운영 94억 원 △경기 이룸대학 운영 26억 원 등이다.

 

교원의 미래교육 역량강화 사업은 △교원 자격연수 110억 원 △교원 역량 강화 등 109억 원이다.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사업은 △국제 바칼로레아(IB) 교육 운영 34억 원 △디지털 시민교육 운영 27억 원이다.

 

미래형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 구축 사업은 △교육과정 운영 및 다양화 532억 원 △도서관 운영 및 학교 도서관 지원 304억 원 △과학실 구축 및 과학교육 내실화 288억 원 △대학수학능력시험 229억 원 △예술 활동 지원 153억 원 △학력평가 관리 132억 원 등이다.

 

학생 맞춤형 진로·직업교육 강화 사업은 △특성화고 운영지원 810억 원 △특성화고 실습 기자재 확충 186억 원 △진로 교육 운영 173억 원이다.

 

교권 보호 및 구성원의 자율성 보장 사업은 △공립 학교운영비 및 사립 운영비 재정결함지원 1조 4,713억 원 △학원 및 평생교육 운영지원 119억 원 △교권보호 지원 18억 원 등이다.

 

방과후학교, 돌봄, 유아교육 강화 사업은 △누리과정 지원 1조 240억 원 △사립유치원 지원 1,281억 원 △방과 후 돌봄 운영 867억 원 △(가칭)경기도북부유아체험교육원 설립 124억 원 등이다.

 

교육 사각지대 학생 지원 사업은 △교과서 지원 1,834억 원 △특수교육 지원 807억 원 △교육 급여 및 교육비 지원 686억 원 △다문화 및 북한이탈주민 등 자녀교육 지원 121억 원 △대안교육 및 교육복지 우선지원 67억 원 등이다.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사업은 △교육시설 환경개선기금 전출금 1조 8,600억 원 △석면 제거 및 LED조명 설치 등 교육환경(안전)개선 1조 1,119억 원 △과대학교 및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학교 신․증설 9,475억 원 △학교급식 경비 지원 6,519억 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추진 1,863억 원 △학교 급식기구 및 시설 확충 1,668억 원 △학교공간 혁신 등 959억 원 등이다.

 

미래지향적 교육행정 체계 구축 사업은 △교원 및 교육전문직 인사 운영 238억 원 △경기도교육연구원 운영지원 53억 원 △지방공무원 역량강화 38억 원 등이다.

 

학교지원 중심 행정강화 사업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456억 원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 408억 원 △교육정책 홍보 및 기획 106억 원 △교직원 인건비 12조 4,326억 원 △BTL운영비 3,263억 원 △예비비 1,000억 원 등이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이번 본예산안은 자율·균형·미래의 원칙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2023 경기교육 방향과 연계하여 편성했다"며, "경기 미래 교육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학생별 맞춤 교육과 새로운 미래 교육 체제 구축,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학교 신·증설 등 공교육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23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은 오는 11월 1일부터 도의회 본회의에서 심의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단신

더보기


정치/행정

더보기
CRC 통과도로, 개통 이후 교통량 분산 및 운행거리 단축 효과 커
지난 7월 3일 개통한 캠프 레드클라우드(CRC) 통과도로가 개통 이후 출퇴근 시간대 교통량 분산 및 운행거리 단축으로 통행 소요시간이 많이 감소해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8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CRC 통과도로는 김동근 시장의 공약사업으로, 개통을 위해서는 당초 국방부 소유 부지를 매입해야 했으나 관련 부처와 적극 협의해 매입 없이 사용료를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시민들의 교통 불편 및 통행 소요 시간 감축은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도 큰 효율을 주고 있다. 통과도로가 개통되기 전에는 CRC 동측 일방통행로로 차량이 집중돼 출퇴근시 교통체증이 심각했다. 개통 이후에는 주변 교차로 지체량이 줄고 가로구간 속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일 평균 3만 대의 차량(오전 첨두시 1시간 2227대)이 양주 방면 녹양로‧비우로(신호교차로 5개)를 이용했다. 하지만 신호교차로가 없는 CRC 통과도로 개통 이후에는 오전 첨두시 시간당 824대의 분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의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에 따른 통행시간 가치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시간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로 연간 70억3600만 원이 절감되는

사회/경제

더보기

사건/사고

더보기
경기도 특사경, 도료 제조사 불법위험물 취급행위 집중 단속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단장 홍은기, 이하 특사경)이 오는 11일부터 11월 10일까지 한달간에 걸쳐 페인트 등 도료를 제조․취급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위험물안전관리와 소방시설에 대한 위법행위를 집중 단속한다. 단속 대상은 경기도에 등록된 도료 제조 업체 중 위험물을 제조․취급하는 20개소다. 특사경은 도료업체의 산업특성상 위험물을 사용해야 하고, 사용량도 많아 화재 등 재난사고 발생시 위험성이 크다고 보고 방문 단속을 통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주요 단속내용은 ▲허가없이 위험물제조소등을 설치하는 행위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불법 저장․취급하는 행위 ▲위험물 정기점검을 하지 아니하거나 점검기록을 허위로 작성하는 행위 ▲사업장 내 소방시설 폐쇄․차단 행위 등이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라 설치허가를 받지않고 위험물 제조소 등을 설치한 행위는 5년 이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제조소 등이 아닌 장소에서 저장하거나 취급한 행위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위험물 정기 점검을 하지 않거나 점검기록을 허위로 작성한 행위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또한